천리길도 한걸음부터
JPA와 DB설정, 동작확인 본문
아.. 어제부터 설정중인데, H2 연결은 되는데, MEMBER 테이블이 안만들어져서..ㅋㅋㅋㅋ
분명 콘솔에는 쿼리가 다 찍혔는데..(어젠 찍히도 않았음)
왜... H2 DB connect해서 들어가보면, 없음..^^
그래서, 바라보는 DB설정이 다르다고 해서... 이것저것 설정을 바꾸고..
그러다가
bootRun시에, 콘솔에 뜨는 메모리 기반 url을 확인해서, 그것으로 H2 DB가 접속이 되고, MEMBER table도 그곳에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쫘증나는건, application.yml 파일에서 jdbc:h2:file:/C:/Users/User/jpashopdb로 바꾸었는데도 불구하고, 파일 기반으로 H2 연결이 안된다..ㅠㅠ 어제는 연결은 되는데 MEMBER 테이블이 생성 안됐었는데..
흠.. 내일 해야겠다.. 제발 이것좀 돼라..
강의 찍을 당시랑 String boot 버전, H2 버전 등등이 달라서...그런것 같다..
그래도.. 어제에 비해, 쿼리도 콘솔에 뜨고, MEMBER 테이블 생성된 것도 봐서 그나마 나은데..
아래와 같다고 해서... 파일시스템에 저장하고 싶은데...하.. 내일 하기로..
매일 공부는 하는데, 정리해서 적기가 쉽지가 않다.
자바, 스프링 강의 > 1일 1코테 > CS지식 강의
그날 컨디션에 따라 요 3가지 중에 하나는 한다. 보통 2개는 하고..
생각보다ㅠㅠ 밸런스가 중요해서, 나만의 페이스대로 공부하려고 노력중..
-----------------------------------------------------------------------------------------------------------------------------------------
H2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특징:
- 메모리 상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데이터베이스도 사라집니다.
- 파일로 저장되지 않고, 서버가 종료되면 데이터도 없어집니다.
- 주로 테스트용이나 임시 데이터에 사용됩니다.
jdbc:h2:mem과 jdbc:h2:file의 차이점:
- jdbc:h2:mem:
- 메모리 내에서만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 데이터가 사라짐.
- jdbc:h2:file:
-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 애플리케이션 종료 후에도 데이터가 파일로 저장되어 유지됨.
'김영한 강의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티티 설계시 주의점 (0) | 2025.04.12 |
---|---|
H2 연결 및 테이블 생성 (0) | 2025.03.15 |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0) | 2025.03.08 |
View 환경설정 (0) | 2025.03.08 |
라이브러리 살펴보기-gradle 라이브러리 (0) | 2025.03.05 |